생사 기로 쌍용차... 이번에는 어떻게 될까?
전세계적으로 자동차 시장이 좋지 않는 모습을 보이는 중에 현금이 약한 자동차 회사들에게서 나쁜 소식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http://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350
비상 걸린 쌍용차…또다시 '생사 기로' - 스트레이트뉴스
쌍용자동차가 대주주인 인도 마힌드라그룹의 신규 투자 철회에도 경영쇄신 작업을 통해 자금 위기 상황을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다만 마힌드라그룹이 쌍용차가 향후 새 투자자를 모색할 경우 이를 지원하...
www.straightnews.co.kr
자세한 내용은 기사를 참고하시고
간략하게 적으면 쌍용차의 대주주인 마힌드라그룹이 자금지원을 중단하겠다는 내용입니다. (원래는 2300억 지원예정이였으나 긴급자금만 400억원 지원으로 바뀌었네요)
# 가능성 1. 정부지원을 이끌어 내기위한 블러핑일까?
쌍용차는 올초에 3년동안 5000억원 정도가 있어야 경영정상화가 가능할 것 같다고 했습니다. 5000억원중에 2300억을 마힌드라그룹 + 자체적으로 1000억원 + 정부지원 1700억원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정부에서 지원을 안하겠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마힌드라 그룹이 2300억원 지원철회를 발표한 것이죠. 이것이 한국정부를 압박하는 언론플레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추후 산업은행의 행동을 지켜봐야만 알수 있는 것이겠죠.
# 가능성 2. 손절
코로나 19로 인해서 지금 전세계 자동차시장이 어려운것은 사실입니다. 그 결과로 쌍용차의 손절이라고 생각한다면 이번에는 다른 인수자가 나설수 있을지 의문일것 같습니다.
하나는 전세계 자동차 기업들의 수익이 첨차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고, 둘째는 패러다임의 변화입니다. 내연기관의 기술을 가지고 있는 쌍용차는 지금보면 그다지 인수해야할 이유가 없는 것이죠.
# 우리는 무엇을 바라봐야 하는것인가?
정부가 이야기했던 친노조정책, 소득주도 성장, 반기업적인 정서가 우리나라를 얼마나 약하게 만들수 있는지 고민해봐야 하는 시점인것 같습니다. 표를 위한 정치의 마지막은 표퓰리즘이 될수밖에 없을 것이고 그 결과는 참옥했다는 것이 유럽을 보면 알수 있습니다. 무상의료, 무상교육... 그런 복지정책의 재원은 어디서 나올까요?
기업들의 해외로 해외로 젊은 이들도 해외로... 그나마 우리나라는 언어적인 특성때문에 덜 나가고 있는 것이지만 유럽의 나라들은 이미 젊은 이들의 유출이 큰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기업들이 일할수 있는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으며 공정한 평가와 공정한 기회가 주어지는 세상이 되었으면 합니다.
# 우리는 공정한 세상에 살고 있는것일까?
경쟁없는 사회. 말이 안되는 것이겠죠. 그럼 공정한 경쟁, 공정한 기회라도 주어지는 세상이되기를 바라봅니다.